장마철을 앞두고, YTN이 지난해 침수 피해를 입었던 현장을 찾아 대비 상황을 점검하는 기획 보도를 이어갑니다. <br /> <br />오늘은 많은 차량이 물에 잠기고, 인명피해도 발생했던 서울 지하철 강남역 일대의 폭우 대비 상황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나간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임형준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 강남역 사거리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강남역 일대의 지형이 폭우에 취약하다는 분석이 있던데 현장에 나가보니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곳 강남역은 다음 역인 역삼역보다 지대가 10m 이상 낮아서 역삼역에서 이쪽으로 향하는 길도 보시는 것처럼 내리막입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 보니 집중호우가 쏟아지면 주변 고지대에서 빗물이 몰려와 고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지형 탓에 지난 10여 년 동안 강남역 일대가 폭우에 잠긴 건 모두 5번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지난해엔 시간당 100mm가 넘는 폭우에 도로가 삽시간에 잠기며 차들이 그대로 멈춰 서고, <br /> <br />수십kg에 이르는 하수구 맨홀 뚜껑이 차오르는 빗물 압력에 날아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남매가 맨홀 구멍에 빠져 숨지는 등 서울 강남 한복판에서 3명이 목숨을 잃는 등 피해가 유독 컸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도 많은 비가 예상되는 가운데 서울시는 주민들의 대피를 유도하는 침수 예보와 경보제를 도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강수량이 시간당 55mm 이상이면 예보를 발령하고, 더 심해지면 경보를 내리고 재난문자를 발송하는 건데요, <br /> <br />다만, 실제로 도로의 사전 통제나 대피 조치가 이뤄지는 경보를 언제 발령하는지를 놓고는 뚜렷한 기준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는 지역마다 상황이 다른 만큼, 자치구마다 CCTV 감시와 현장 점검을 통해 경보 발령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난해처럼 짧은 시간에 물이 차오를 수 있는 만큼, 신속히 대처하려면 구체적인 기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또, 서울시는 맨홀 뚜껑 아래 수백 kg 무게까지 견딜 수 있는 철제 그물망을 침수 취약 지역을 위주로 설치해 추락을 방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서울 시내 맨홀 28만여 개 가운데 방지시설이 설치된 건 4% 수준인 만여 개, 강남구의 설치율도 5%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앞서 임 기자가 설명한 대책은 침수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들인데, 침수 자체를 막을 방법은 없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이곳 강남은 왕복 8차선까지 도로가 넓게 깔려 있어 물이 땅으로 스며들지 않고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임형준 (chopinlhj0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1913033421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